예산을 정하기 전, 단가와 전환율을 넣으면 결과가 바로 나오는 계산 구조부터 만들자. 유튜브 광고 비용 계산을 수식으로 바꾸면 목표에 맞는 일 예산과 예상 성과를 빠르게 산출할 수 있다.
유튜브 광고 비용 계산은 어떻게 만들까?
- 단계 1: 목표를 고른다. 조회/도달/전환 중 하나.
- 단계 2: 형식을 선택한다. 인스트림(스킵), 인피드, 쇼츠, 범퍼, 논스킵.
- 단계 3: 단가 가정을 넣는다. CPV 또는 CPM, 전환형이면 tCPA.
- 단계 4: 전환율·보기율·클릭율 같은 보조 지표를 가정한다.
- 단계 5: 일 예산을 넣고 예상 결과를 계산한다.
핵심 지표 빠르게 정리
- CPV(유효 조회당 비용): 유효 조회수 = 예산 ÷ CPV
- CPM(천 회 노출당 비용): 노출수 = 예산 ÷ (CPM/1000)
- VTR(조회율): 유효 조회수 = 노출수 × VTR
- CTR(클릭률): 클릭수 = 노출수 × CTR
- CVR(전환율): 전환수 = 클릭수 × CVR
- tCPA(목표 전환당 비용): 전환수 = 예산 ÷ tCPA
목표별 예산 산정 절차
아래 흐름대로 수치를 넣으면 스프레드시트 없이도 손계산이 가능하다.
- 조회수 목표(브랜드 인지도·영상 소비)
1) 형식: 스킵 가능 인스트림 또는 인피드
2) 가정: CPV, VTR
3) 계산: 유효 조회수 = 예산 ÷ CPV
4) 보조: 노출수 ≈ 유효 조회수 ÷ VTR - 도달/빈도 목표(짧게 넓게 알림)
1) 형식: 범퍼 6초, 논스킵 15초, 쇼츠
2) 가정: CPM, 목표 빈도
3) 계산: 노출수 = 예산 ÷ (CPM/1000)
4) 도달 추정: 도달 = 노출수 ÷ 평균 빈도 - 전환 목표(리드·구매·문의)
1) 형식: Video Action, 쇼츠 전환, 인피드 전환
2) 가정: tCPA 또는 CPC·CVR
3) 계산 A: 전환수 = 예산 ÷ tCPA
4) 계산 B(세부): 클릭수 = 노출수 × CTR, 전환수 = 클릭수 × CVR
예시 가정 범위(국내 일반 타겟, 변동 가능):
- CPV 30~120원, CPM 5,000~15,000원(범퍼), 10,000~25,000원(논스킵), 쇼츠 3,000~10,000원
- CTR 0.3~1.5%(인스트림 기준), CVR 0.5~3%(랜딩·오퍼 의존)
- VTR 15~35%(인스트림), 3~8%(범퍼는 유효 조회 개념 대신 노출 중심)
입찰 전략과 단가 기준 한눈에
- 인스트림(스킵 가능)
- 목적: 조회·전환 모두 가능
- 단가: CPV 30~120원
- 팁: 후킹 5초 품질이 CPV·VTR을 좌우
- 인피드
- 목적: 관심 유저 유입, 장시간 시청
- 단가: CPV 50~150원
- 팁: 썸네일·타이틀 A/B가 CPV를 크게 내린다
- 범퍼·논스킵
- 목적: 도달·빈도
- 단가: 범퍼 CPM 5,000~15,000원, 논스킵 10,000~25,000원
- 팁: 주 3~5회 빈도 제한으로 피로도 제어
- 쇼츠
- 목적: 넓은 도달, 빠른 실험
- 단가: CPM 3,000~10,000원
- 팁: 0~2초 메시지·자막 대비가 CTR·완주율에 영향
- 전환 캠페인(Video Action)
- 목적: 리드·구매
- 입찰: 최대 전환수, tCPA
- 팁: 초기 1~2주 신호 수집 후 tCPA로 전환
실제 예시/팁: 계산값부터 운영 세팅까지
- 예시 1) 조회 목표, 일 70,000원, 인스트림
- 가정: CPV 70원
- 유효 조회수 ≈ 70,000 ÷ 70 = 1,000회
- VTR 25% 가정 시 노출수 ≈ 1,000 ÷ 0.25 = 4,000회
- 세팅 팁: 광범위+관심사 1개, 30초 내 1종 영상으로 집중
- 예시 2) 도달 목표, 일 120,000원, 범퍼
- 가정: CPM 9,000원, 목표 빈도 3회
- 노출수 ≈ 120,000 ÷ (9,000/1000) = 13,333회
- 예상 도달 ≈ 13,333 ÷ 3 = 4,444명
- 세팅 팁: 브랜드명+핵심 혜택+콜투액션만 압축
- 예시 3) 전환 목표, 일 200,000원, Video Action tCPA
- 가정: tCPA 20,000원
- 전환수 ≈ 200,000 ÷ 20,000 = 10건
- 세부 검증: CTR 1%, CVR 1.5%, CPM 8,000원 가정
- 노출 ≈ 200,000 ÷ (8,000/1000) = 25,000회
- 클릭 ≈ 25,000 × 0.01 = 250회
- 전환 ≈ 250 × 0.015 = 3.75건(초기엔 낮게 나옴)
- 해석: 초기 신호 부족 시 전환이 낮다. 1~2주 조회·클릭 신호 확보 후 tCPA를 적용
손쉬운 스프레드시트 항목(복붙용)
- 입력: 목표, 형식, 일 예산, CPV 또는 CPM, CTR, VTR, CVR, tCPA
- 계산:
- 노출 = IF(CPM, 예산 ÷ (CPM/1000), 유효조회 ÷ VTR)
- 유효조회 = IF(CPV, 예산 ÷ CPV, 노출 × VTR)
- 클릭 = 노출 × CTR
- 전환 = IF(tCPA, 예산 ÷ tCPA, 클릭 × CVR)
- 출력: 예상 노출/조회/클릭/전환, 추정 CPA, 추정 CPM·CPV
주의사항/FAQ
- 단가가 들쭉날쭉하다
- 타겟이 좁거나 시즌 경쟁이 높을 수 있다. 타겟 풀을 넓히고 소재를 2~3종 순환한다.
- 소액 예산은 캠페인을 나눠야 할까
- 하루 10만원 이하라면 한 캠페인에서 광고그룹으로 분기한다. 학습 속도를 우선한다.
- 좋은 CPV 기준은
- 업종·영상에 따라 다르다. 보기율 20%↑, 평균 시청시간 상승 여부를 함께 본다.
- 전환 캠페인 초반에 성과가 낮다
- 1~2주는 학습 단계다. 클릭·조회 신호가 누적되어야 tCPA가 안정된다.
- 쇼츠가 싼데 전환이 낮다
- 도달 대비 의도 신호가 약할 수 있다. 리마케팅과 조합해 전환 라인을 만든다.
핵심 체크
- 목표를 먼저 고르고 형식·지표를 연결한다.
- 예산 ÷ 단가로 1차 결과를 빠르게 계산한다.
- 전환 목적은 신호 수집 기간을 감안해 tCPA를 적용한다.
- 단가가 아닌 크리에이티브·후킹·타겟 풀 크기가 결과의 절반을 좌우한다.